가정과 건강/Sweet Home(10)
-
가정경제 - 비정기 지출
지난 1월, ‘올해는 돈 관리를 잘해 봐야지’ 하면서 새해를 시작했지만, 생각보다 잘 안 되었던 가정이 많을 것이다. 새 해에는 돈 쓸 일이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월말에 ‘설’이라는 큰 명절 이 있다 보니 많은 돈을 지출하게 된다. 돈 관리를 잘해 보겠다고 다짐한 첫 달부터 관리에 실패하다 보니 무력감을 느끼면서 관리를 포기하게 된다. 비정기 지출 상당수 가정이 예산을 세울 때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지출만 생각한다. 예를 들면 주거비, 식비, 교통비, 통신비, 교육비, 문화생활비와 같은 지출만 따지게 된다. 그러다 보면 놓칠 수 있는 것이 바로 명절 지출, 등록금, 경조사비 같은 비정기 지출이다. 이러한 비정기 지출의 경우 그때그때 무심코 쓰는 돈이다 보니 월 10~20만 원 정도면 될 것이라고 대수..
2023.04.23 -
가계부 쉽게 쓰는 7가지 팁
새해에는 돈 관리를 잘해서 부채는 줄고 자산이 늘어났으면 하는 생각을 한 번쯤은 할 것이다. 생각이 현실로 이뤄지려면 실천이 중요하다. 효율적인 돈 관리를 위해 제일 중요한 것은 가계부를 쓰는 일이다. 수입, 지출 관리가 되어야 저축액도 늘릴 수 있는 법이다. 그동안 가계부를 시도했다가 포기한 적이 많을 텐데, 2023년 한 해 가계부를 끝까지 쓰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자. 1) 가계부를 통한 예/결산은 필수 ‘가계부를 써도 달라지는 게 없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가계부를 그냥 쓰기만 한다는 점이다. 자연스레 가계부가 또 하나의 영수증이 된다. 의미가 없으니 포기한다. 가계부의 핵심은 예산과 결산이다. 이번 달에는 얼마를 쓸지 계획해 보고, 한 달을 실제로 살아 보고 나서 처음 계..
2023.04.21 -
고정 지출 줄여 보기
많은 가정이 막연히 우리 집은 쓰는 게 뻔해서 아낄 게 없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상담을 해 보면 큰돈이 새는 가정은 많지 않다. 하지만 푼돈은 많이 샌다. 예를 들어 편의점은 한 번 이용할 때 큰돈을 쓰지는 않지만 자주 이용하다 보니 한 달 편의점 지출을 합쳐 놓고 보면 생각보다 금액이 많다. 소소한 간식 비용이나 액세서리 비용, 택시비 등 이런 식으로 새 나가는 돈은 생각보다 많다. 고정 지출 줄이기 미래에 매우 중요하게 써야 할 돈을 지금 푼돈으로 하찮은 곳에 쓰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야 한다. 푼돈을 쉽게 쓰다 보니 정작 큰돈을 쓸 때는 빌려서 쓰는 일을 반복한다. 한번 쓸 때 그 비용이 적다고 해서 합계 금액이 작은 것이 아니다. 명품 같은 사치성 소비를 하지 않더라도 잡동사니 소비가 지속되고..
2023.04.19 -
디지털 시대, 종이책 읽기 어떻게 지도할까?
책 읽기는 일종의 대화이다. 책을 쓴 사람과 읽는 사람이 나누는 고요한 대화로 없었던 생각이 만들어지고, 행동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더 나아가 책을 읽은 사람들이 한 문장에 공감하고 대화의 장을 연결하면서 문화를 만들어 가게 된다. QR 코드로 결제하는 디지털 시대 디지털 경제 시대의 단면을 보여 주는 중국의 거지 동영상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동전이나 지폐 대신 QR 코드가 찍힌 종이판이나 구걸 통을 놓고 결제를 받는 영상이었다. 별도의 인증 과정 없이 단 몇 초 만에 결제가 이루어져 돈이 들어오는 과정을 보며 구걸하던 거지들도 뿌듯해하는 장면이었다. 이뿐 아니라 한 번도 카드를 써 본 적이 없는 중국의 산골 마을 사람들, 길거리에서 야채나 음식을 파는 노점상들도 현금이나 카드 대신 QR 코드로..
2023.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