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경제 - 유형별로 나눈 지출 통장

2023. 5. 10. 20:50가정과 건강/Sweet Home

반응형

지출 통장을 어떻게 나눠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지출 통장은 지출 유형별로 나누면 된다. 지출 유형은 크게 월 1회성 지출과 수시 지출,

비정기 지출 3가지로 나뉜다.

 

지출통장 관리

월 1회성 지출은 한 달에 한 번 쓰는 돈이다. 공과금, 통신비, 보험료, 대출 원리금, 사교육비

등이 해당한다. 수시 지출은 식비 처럼 수시로 쓰는 지출을 이야기한다. 일상생활비라고

생각하면 된다. 비정기 지출은 명절 비용이나 경조사비, 자동차 보험료처럼 1년에 한두 번

정도 쓰는 지출이다. 지출 유형에 따라 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활용하는 것이 좋다.

 

 

지출통장 관리

 

1) 월 1회성 지출 통장

통장에 돈이 여유 있게 남은 줄 알았다가 갑자기 보험료나 교육비 등이 빠져나가서 생활비가

쪼들렸던 경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이체 등 월 1회성

지출과 일상생활비를 통장을 따로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별도 통장을 통해 자동 이체

항목을 관리하니 연체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자동 이체를 포함한 월 1회성 지출 금액을

한 번 계산해 보고 그만큼의 금액을 별도 통장에 넣어 둔다. 가급적 이체일도 통일해 놓아야

관리하기가 수월하다.

 

2) 수시 지출 통장

식비, 외식비처럼 일상생활비를 위한 통장이다. 수시로 돈을 꺼내 써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현금 인출 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는 통장에 체크 카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식비와 교통비, 용돈 등의 매일 쓰는 생활비 명세는 체크 카드에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예산을 세워 관리해야 한다. 가급적이면 한 달 치 생활비가 아닌 1주일 치 생활비를

넣어 두는 것이 좋다. 한 달 생활비를 한꺼번에 넣어 두면 다음 월급날이 되기 전에 생활비가

떨어져 곤란한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

 

돈 관리가 되려면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한 달 치 생활비를 한꺼번에 넣어 두고

23일 후의 지출이 얼마 정도 될지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일주일 생활비에서 월요일에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얼마를 써야 할지 는 예측할 수 있다. 예측되기 때문에 평일에 돈을

쓰면서 주말에 쓸 돈을 남겨 놓고자 하는 노력을 할 수 있다. 설사 평일에 지출이 많아져서

주말에 쓸 돈이 부족하다 하더라도 일주일 단위로 관리할 때는 부족 금액도 크지 않기 때문에

대안을 세우기도 쉽다. 이처럼 예산을 세워 체크 카드에 잔액을 적당한 규모로 유지하지

않으면 체크 카드는 신용 카드와 크게 다르지 않을 위험이 있다. 늘 잔액이 빠듯하다는 긴장

감이 있어야 소비를 할 때 한 번 더 생각해 보기 때문에 새는 돈을 줄일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3) 비정기 지출 통장

매월 정기적으로 쓰는 생활비 외에도 명절 비용이나 가족 이벤트 비용 등 비정기적으로 나가는

돈을 관리하기 위한 통장이다. 비정기 지출의 경우 가족 경조사나 명절, 휴가 등이 있는 달에

지출이 많다가 때론 아무것도 없는 달도 있어서 매달 지출 금액이 달라서 관리가 어려운

항목이다. 따라서 비정기 지출은 일상생활비와 별도로 관리해야 한다. 그래야 명절이나 경조사

가 많다고 해서 생활비가 쪼들려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중

비정기 지출 내용을 예측해 보고 월평균 금액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 연간 비정기 지출 금액이

600만 원이라면 매월 50만 원씩 통장에 넣어 두고 필요 할 때마다 꺼내 쓰는 식으로 관리하면

불규칙한 비정기 지출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일도 없어진다.

 

통장 관리로 만드는 푼돈의 위력

이렇게 쓰면 불편할 것이라 여기는데 사실 이렇게 통장을 구분하는 것이 오히려 관리 면에서

훨씬 편리하다. 이런 과정은 시스템을 처음 만들 때 한 번 고생하고 그다음 부터는 조금씩

현실에 맞게 조정하는 수고만 하면 된다. 통장을 신규로 만들고 예산을 수립해 그만큼의 돈을

이체시켜 놓는 한 번의 번거로움이면 관리의 편리함을 가져갈 수 있음으로 꼭 실천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구분 월 1회성 지출 수시 지출 비정기 지출
항목 공과금, 통신비, 대출 원리금, 보험료, 사교육비 등 식비, 외식비, 문 화비, 의류비 등 자동차 보험료, 경조사비, 공교육비, 명절 비용, 휴가비 등

 

 

 

출처 : 건강과 가정 시조사 월간잡지

저자 : 박종호

한국금융복지연구소 소장, 유퍼스트 교육실장, 금융복지상담사 출제위원 및 전임강사,

전 에듀머니 총괄본부장, 저서: <흑자생활의 법칙>, 공저: <착한 소비의 시작>,

<굿바이신 용 카드>, <가계부 잘 쓰는 법>, <우리 집 착한 재무주치의>

 

반응형